턴테이블~아날로그 사운드와 디지털 사운드~LP, CD, MP3, 스트리밍
아날로그 사운드와 디지털 사운드
디지털 사운드가 주류가 된지는 이미 상당히 오래 되었지만 그동안 CD나 DVD 같은 매체는 지금은 주류에서 밀려나 MP3, FLAC 등 파일의 재생에 이어 디지털 스트리밍이 요즘 시대의 음악 듣는 방식이 된지도 오래 되었다.
그런데 이런 시대에도 바이닐(LP 레코드)이 다시 살아 나고 있으며 많은 뮤지션들이 디지털 음원 발매와는 별도로 스페셜 바이닐 버젼을 발매하는 경우도 많아 지고 있고 온라인 쇼팡몰등에서도 수많은 종류의 다양한 가격과 품질의 턴테이블이 판매되고 있다.
아직도 곳곳에는 나름 옛 정취를 간직한 많은 LP 바들이 그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에디슨이 처음 축음기를 발명했을 때 사람들은 인간의 소리를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흥분을 감추지 못했었다.
아마 십 수년전만 하더라도 '디지털 사운드란 무엇인가?'라는 식으로 글을 써야 했을 것이지만 시대가 변해서 이제는 다시 아날로그 사운드란 무엇인가를 설명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대개의 전문가들이 CD의 시대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었지만 이미 CD의 시대는 거의 끝났다고 해야 할 시점이다.
물론 CD 제조 판매가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많은 K-POP 뮤지션들은 어찌됐든 CD로 자신들의 신작을 발매하고 있고 그것도 수십만 매씩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음악 배포 방식이 온라인으로 바뀐지도 오래되어 요즈음 CD를 구경한 적도 없는 어린 친구들도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아날로그 사운드라는 것은 우선 기본적으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모든 신호처리에 있어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과 다르다.
그러나 디지털은 기본 형태를 완전히 분해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로 보존하다가 그것을 다시 처음의 형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아날로그 예찬론자들이 디지털 사운드를 공격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기도 한데 '기계론적 유물론'에 빗대어 (생명체를 예로 들어 완전 분해한 후에 재조합하면 그것이 다시 생명을 갖게 되느냐는 뭐 그런 공격들) 이미 한 번 형태를 잃은 것을 다시 재조합한다고 해서 예전의 것과 같을 수 없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대목에서 SF 적인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갑자기 스타트랙에서의 이동 장치가 생각난다.
디지털 사운드의 음질은 논리적이며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에서 갖고 있는 모든 환경을 철저하게 버려야 한다.
입력 센서라던가 임피던스와 같은 까다로운 스펙은 없어졌지만 값비싼 기기를 통해 만든 소스를 평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조건도 감수해야 한다.
디지털 사운드라는 것은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SAMPLING)이라는 작업을 통해 미세하게 잘려지는데 쉬운 예로 스넥과자 포테이토칩을 생각하면 될 것이다.
감자를 얇게 써는 것이 포테이토칩의 관건이라면 샘플링 주파수라는 것이 바로 이렇게 얇게 써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연히 얇게 썰수록 미세한 신호까지 담을 수 있어 좋다.
이런 장점들을 응용해 광통신이라든지 하는 통신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할 때보다 더욱 가는 선으로 혼선의 부담 없이 더욱 많은 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샘플링된 아날로그 신호는 각각의 크기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는데 이것을 양자화라고 한다.
실제로 디지털 사운드는 소리의 원형을 완전히 잃어버리긴 해도 이런 양자화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재생시에 우리 귀로 느낄 수 있는 원음의 손실은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설사 그런 손실이 발생 하다고 하더라도 전자회로를 통해 이런 손실이 보정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런 특성 덕에 디지털 사운드는 소스 제작 당시의 원음을 풍부하게 우리 귀에 전달해줄 수 있다.
이에 비해 아날로그 사운드는 저장되는 매체 속에 원형이 보관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공되지 않은 순수함이 있지만 이 원형을 보관하는 그릇이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우리가 흔히 오디오에서 아날로그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떠올리는 매체인 LP를 연상해보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얇은 PVC재질의 플라스틱판은 사용중의 긁힘과 마찰 전기의 먼지에 의한 오염 등 수많은 원인에 시간이 지나면 음질이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무리 훌륭한 연주라 할지라도 커팅 머신을 통한 기계적 재현이기 때문에 완벽한 소스 제작이라는 문제가 있다.
카트리지를 통한 기계진동의 전기 에너지 변환이라는 시스템은 기가 막히게 잘되어 있지만 이 신호가 앰프에 입력되어 이퀄라이저의 보상(RIAA 커브)을 통하면서 위상 틀어짐, 험 유입 등으로 사용상 많은 손실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인간의 귀로 감지 가능한 한계가 70㏈ 정도이기 때문에 별 문제는 되지 않는다고는 하나 신호저장 매체로서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 동안 궁극의 오디오라고까지 일컬어지던 디지털 사운드라고 해도 최근의 고품위 LP 재생 카트리지에 의해 과거에는 듣지 못했던 초고역대의 음향과 다이나믹한 사운드가 재생되어짐에 따라 아날로그 사운드의 진가를 발휘하게 되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빚어지게 된다.
그 이유는 일반 대중적인 CD나 WAV, MP3등 디지털 음원 소스의 포맷이 44.1㎑의 샘플링 주파수로 고정됨에 따라 재생 주파수 대역이 22㎑의 범위로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샘플링 주파수를 올려 주파수 대역을 올린 고해상도 CD 등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어쨌든 음에는 인간이 구분해낼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인 16-20㎑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배음효과란 것이 있어서 80㎑까지도 소리의 식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때 50㎑까지의 재생 범위를 가진 아날로그 카트리지의 사운드는 과학적 수치만으로도 디지털 음원을 능가하게 되는 것이다.
디지털 사운드에 멋지게 한 방 먹인 아날로그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중화된 스트리밍이나 마이크로 SD 카드에 복사된 MP3, FLAC, WAV 파일등의 청취로 디지털 사운드의 편리함과 반영구성 등의 이점에 비해 아날로그 사운드 특히 LP 레코드(카세트 테이프도 사라지지 않았음)는 점점 애호가들이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역시 소수 매니아들에만 의해서 존재하는 형태로 남는 것이 아닌가 하는 쓸데 없는 걱정이 앞선다.
'사운드&레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alog Days] 1979년 4트랙 카세트 멀티 트랙 레코더의 탄생 ~ 홈 레코딩의 혁신 (0) | 2023.01.11 |
---|